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블로그인 게시물 표시

페이스북 페이지 이쁘게

페이스북 페이지 관심있게 하는 방법 아래 출처의 글에서 가져왔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원본글로 이동 고고 https://insidestory.kr/21455

[좋은글] 영리하나 열정이 없다

영리하나 열정이 없다   ( http://agile.egloos.com/5304902 ) 제목이 그럴듯 하여 낚였습니다 . ^^ 정리해보면 , 좋은 목표의 기준은 " SMART 한 목표보단 EXACT 한 목표다 "  입니다 . EXACT 한 목표 ? 캐롤 윌슨 (Carol Wilson) 이 쓴   Best Practice in Performance Coaching 이라는 책입니다 . 캐롤은 이 책에서 SMART 보다 EXACT 라는 목표 기준을 추천합니다 . 추천사를 써준 , 비즈니스 코칭의 선구자 존 휘트모어 (John Whitmore) 역시 SMART 가 남용되고 있고 불완전하다고 하며 EXACT 를 추천했습니다 . EXACT 를 보고는 무릎을 쳤습니다 . 맞어 ! EX citing A ssessable C hallenging T ime-framed   글의 마지막 문장이 인상적이네요 !! 마지막으로 사람들이 EXACT 한 목표를 세웠는지 쉽게 확인하는 팁을 하나 알려드립니다 .  목표를 세운 후에 얼굴에 화색이 돌고 목소리가 밝아지고 몸짓에 힘이 들어가고 행동의지가 강해진 듯 ( 아 , 빨리 뭐 해보고 싶다는 느낌 ) 보이면 잘 된 겁니다 . 시간날 때 찬찬히 읽어보시길 추천 !!

[좋은글] 스포카에서는 회고를 어떻게 할까

스포카에서는 회고를 어떻게 할까 ? https://spoqa.github.io/2018/08/29/retrospect.html 스포카에서는 팀별로 회고를 진행합니다 . 회고라는 단어에 대해 생소한 분들을 위해 간단히 소개해드리면 , 진행한 업무 기간별 좋았던 점과 안 좋았던 점을 각자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 필요하다면 앞으로 어떻게 업무수행 방식을 개선할지 액션플랜까지 도출하는 활동입니다 . 회고의 사전적 정의는 "1. 뒤를 돌아다봄 . 2. 지나간 일을 돌이켜 생각함 " 이라고 하니 회사에서 말하는 회고는 업무 기간의 팀 단위 자기성찰이라고 보시면 이해가 빠르겠습니다 .   이제 회고할 준비가 모두 되었습니다 . 본격적으로 진행하기 이전에 회고 프로세스를 살펴볼까요 ? 스포카에서 진행하는 회고는 아래 일곱 가지 과정을 거칩니다 .   온도 체크 자료 모으기 그룹으로 만들기 더 이야기하기 액션플랜 도출 마무리 온도 체크 회고의 회고   읽어두고 정리해두기 .. 사실 모든 회의에 적용이 가능한 이야기.. 잘 듣고, 정리하고, 액션플랜 마무리..

[좋은글] 혁신에 대하여

그래서 정해진 규칙 안에서 , 즉 공정함을 유지하면서 뭔가가 다 잘 되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을 혁신이라고 부른다 . 공정함을 깨면서 잘되는 무언가는 전혀 혁신이 아니며 . 별것도 아니고 , 불법적일 가능성이 높은 갑질일뿐이다 . 변화 이런 단어말고 ' 혁신 ' 이라는 과격스러운 단어를 쓰는 이유가 뭔가를 잘 되게 만들면서 , 동시에 공정함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비용도 증가시키지 않는 방안이라는 의미다 . 당연히 쉽지 않지만 , 모든 영역에서 그걸 해내는 걸 ' 발전 ' 이라고 한다 . … 혁신은 작던 크던 세상을 다른 단계로 바꾸는 아이디어로 시작되지만 , 돈으로 완성되고 , 기다림으로 그 결과가 ' 사람 ' 에게 느껴지는 그런 것이다 . 출처 : http://hl1itj.tistory.com/183 [ 쉽게 살 수 있을까 ?] 혁신이라 … 공정함 속에 발전 … 그걸 견딜 돈 … 편법이 쉽다 … 그래서 유혹에 빠지기 쉬운 듯

[스크랩] 일을 하는 시스템 만들기

일을 하는 시스템 만들기 http://www.thestartupbible.com/2018/08/how-to-make-your-system-work-for-you-not-the-other-way-round.html 모든 창업팀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보면 좋을 거 같다 . "우리 회사가 단체 해외 워크숍을 가는데 , 비행기가 무인도로 추락해서 , 여기에 3 개월 동안 고립된다면 , 우리 회사의 매출과 성장에 얼만큼의 지장이 있을까 ?" 정답은 없어도 결국은 시스템을 만들어야 좋은 회사가 된다는 말씀 ~ 정답은 쉽게 알려주지 않는다 . 각자 고민의 시간이 필요해 <![if !vml]> <![endif]>

창업가 3인이 전하는 기업가 정신

창업가 3 인이 전하는 기업가 정신 출처 : http://www.venturesquare.net/767639 배달의 민족 김봉진 대표 n  김 대표는 마키아벨리의 말을 인용해 "나 스스로를 지배하지 못하면 누군가에게 지배 당한다"며" 자기 스스로 결정하면서 사는 삶을 살길 바란다"고 조언했다 . 권순범 이큐브랩 대표 <![if !supportLists]> n   <![endif]> "절대 실패하지 않는 법으로 일하는 법을 배웠다"며 "실패하지 않는 법은 성공할 때까지 계속 시도하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 박혜란 이노마드 대표 <![if !supportLists]> n   <![endif]> 박 대표는 "사회적 가치란 것은 지속적으로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으로 이노마드를 운영하고 있다"

좋은글 - 진정한 리더십

생텍쥐베리의 어린왕자에서는 진정한 리더십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 ' 큰 배를 만들게 하고 싶다면 나무와 연장을 주고 배 만드는 법을 가르치기 전에 먼저 바다에 대한 동경을 심어줘라 .

스크랩 - 파이프라인과 플랫폼 기업의 경쟁우위

http://www.letitbe.biz/wp/archives/2320 파이프라인에서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과정에는 다음의 세 가지 핵심적인 변화가 포함된다. 1. 자원통제에서 자원 조정으로 자원을 토대로 경쟁을 바라보는 관점에서는 기업들이 희귀한, 이상적으로 말하면 도저히 흉내 낼수 없는 자산을 통제함으로써 유리한 입장에 선다고 여긴다. 파이프라인 세계에서는 광산, 부동산 같은 유형자산과 지적재산권 같은 무형자산이 여기에 포함된다. 반면 플랫폼 세계에서 모방하기 힘든 자산은 커뮤니티와 그 구성원들이 소유하고 기여하는 자원들이다. 방이나 자동차, 아이디어나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생산자와 소비자로 엮인 네트워크야말로 주요한 자산인 것이다. 2. 내부 최적화에서 외부 상호작용으로 파이프라인 기업들은 재료 구매에서 판매와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생산 활동을 아우르는 전체 사슬을 최적화함으로써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내부 노동인력과 자원을 조직화한다. 반면에 플랫폼은 외부 생산자와 소비자간 상호작용을 촉진함으로써 가치를 창출한다. 이런 외부 지향성 덕분에 플랫폼은 대개 변동이 심한 생산비 부담마저 떨쳐버린다. 주안점이 프로세스 제어에서 참여자 설득으로 옮겨지고, 생태계를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인 능력이 된다. 3. 고객 가치 중심에서 생태계 가치 중심으로 파이프라인 기업들은 사실상 선형 프로세스의 맨 끝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개인 고객의 평생 가치 극대화를 추구한다. 반면에 플랫폼은 순환적이고 반복적인 피드백 기반 프로세스를 통해 점차 확대돼 가는 생태계의 전체 가치를 극대화하려고 한다. 이 방식은 때때로 어떤 특정한 유형의 소비자에게 보조금을 지원해 또 다른 유형의 소비자를 유인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