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G Ethernet MAC IP core

1G Ethernet MAC IP core 검색

구글링하다가 계속 일회성이라 검색된 결과 중 들어가 본 곳만 저장할 겸 해서

아래 내용 중 가장 인상적인 것은 750불 짜리 소스를 판매하는 곳이 있다는 것. 보통 오픈 안하고 막상 알아보면 엄청 비싼데. 싼게 비지떡이겠죠 ^^

 

pkerling/ethernet_mac

https://github.com/pkerling/ethernet_mac

Tri-mode (10/100/1000) full-duplex FPGA ethernet MAC in VHDL

This page is a short overview of the features and usage of the MAC. More information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can be found in the design document at https://github.com/pkerling/ethernet_mac_doc/raw/master/Thesis.pdf.

테스트 보드는 아래 보드.

https://shop.trenz-electronic.de/de/Produkte/Trenz-Electronic/TE0600-Spartan-6-Ethernet/

 

 

Opencores 10_100_1000 Mbps tri-mode ethernet MAC

https://opencores.org/project/ethernet_tri_mode

 

GRETH_GBIT 10/100/1000 Ethernet MAC

https://www.gaisler.com/j25/index.php/products?option=com_content&task=view&id=278

The GRETH_GBIT core implements a 10/100/1000 Mbit/s Ethernet Media Access Controller (MAC) with AMBA host interface. The core implements the 802.3-2002 Ethernet standard. Receive and transmit data is autonomously transferred between the Ethernet MAC and the AMBA AHB bus using DMA transfers. Through the use of receive and transmit descriptors, multiple ethernet packets can be received and transmitted without CPU involvement. The GRETH_GBIT provides support for the MII and GMII PHY interfaces. Hardware support is also provided for the EDCL UDP debugging protocol. For critical space applications, a fault-tolerant version of GRETH_GBIT is available with full SEU protection of all RAM blocks.

Deliverables VHDL source code or FPGA/ASIC netlist

 

Triple-Speed Ethernet Intel® FPGA IP Core

https://www.intel.com/content/www/us/en/programmable/products/intellectual-property/ip/interface-protocols/m-alt-ethernet-mac.html

The Triple-Speed Ethernet Intel® FPGA IP core consists of a 10/100/1000 Mbps Ethernet media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coding sublayer (PCS) intellectual property (IP). This IP function enables Intel FPGAs to interface to an external Ethernet PHY device, which interfaces to the Ethernet network.

 

This IP is offered in MAC-only mode or in MAC+PHY mode. In the MAC only mode, the IP uses an external PHY chip to do signaling. The two supported interfaces to the external PHYs are: GMII (8 bit interface at 125 MHz SDR) and RGMII (4 bit interface at 125 MHz DDR). In the MAC+PHY mode, the PHY is realized using on-chip transceivers or LVDS I/O with dynamic phase alignment (DPA) logic that can operate up to 1.25 Gbps. SGMII or 1000Base-X protocol is used in this case. The usage of LVDS I/Os enables very scalable multiport gigabit Ethernet (GbE) system designs while saving the serial transceivers for higher performance protocols.

 

emsys Gigabit Ethernet IP Core

https://www.emsys.de/products/gbit-ethernet-ip

emsys Embedded Systems GmbH has long time experience with development of reusable hardware IP.

 

The emsys Gigabit Ethernet core is a scalable, high performance IP module for usage in ASIC and FPGA designs to integrate an IEEE802.3 Gigabit Ethernet Controller into embedded systems. It provides an easy to use programming interface for interconnecting almost any 8/16/32bit microcontroller or DSP and is optimized for camera/visual applications.

 

Deliverables

The emsys Gigabit Ethernet IP core can be ordered as:

VHDL Source code for ASIC designs

Synopsys Design Ware component for ASIC designs

VHDL/Verilog netlist for FPGA designs (Xilinx, Actel, Altera)

 

MorethanIP 10/100/1000 Ethernet MAC

http://www.morethanip.com/mbps_10_100_1000_mac.htm

 

COM-5401SOFTTri-Mode 10/100/1000 Ethernet MAC

VHDL source code for Tri-Mode 10/100/1000 Mbps Ethernet MAC

COM-5401SOFT

224 KB

COM-5401SOFT

$750

https://comblock.com/download/com5401soft.pdf

The COM-5401SOFT is a generic tri-mode Ethernet MAC core (including the VHDL source code) designed to support full- or half-duplex Gigabit throughput on low-cost FPGAs. The component's very efficient implementation makes it suitable for multiple instantiations within a small FPGA. For example, it is instantiated four times (for a 4 Gbits/s combined throughput) in a small Spartan-6 XC6SLX16 [4][5].

 

Xilinx Virtex-4 FPGA Embedded Tri-Mode Ethernet MAC

https://www.xilinx.com/support/documentation/user_guides/ug074.pdf

 

 

CAST EMAC-1G

http://www.cast-inc.com/ip-cores/interfaces/emac-1g/index.html

 

Arasan Gigabit Ethernet with IEEE 1588 and AVB

https://www.arasan.com/products/ethernet/1ge-1588/

DELIVERABLES

  • RMM Compliant Synthesizable RTL design in Verilog

 

Lattice Tri-Speed Ethernet MAC Core IP

https://www.latticesemi.com/en/Products/DesignSoftwareAndIP/IntellectualProperty/IPCore/IPCores01/TriSpeedEthernetMAC

The Tri-Speed Ethernet Media Access Controller (TSMAC) IP core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in either the Gigabit mode (1000Mbits/sec data rate) or the Fast Ethernet mode (10/100 Mbits/sec data rate). Operation in either Gigabit mode or Fast Ethernet mode is selected by setting an internal register bit.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스크랩] 반도체의 기본재료, 웨이퍼(Wafer)

출처 : http://www.skcareersjournal.com/194 [SK 채용 공식블로그 ] 반도체의 기본재료 , 웨이퍼 (Wafer) 모래로부터 실리콘을 추출 , 가공과 성형을 통해 완성된 잉곳 ( 결정 기둥 ) 을 얇은 판으로 잘라내는 공정 반도체의 기본 재료인 웨이퍼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진다 . 실리콘은 모래 속에 많이 들어있어 구하기 쉽고 , 비용이 적게 든다 . 또 고온에서도 소자가 동작할 수 있고 , 전기적 특성이 우수해 주 재료로 사용된다 . 웨이퍼 공정은 크게 4 단계를 거친다 . 먼저 , 모래에서 추출한 실리콘을 정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 다음으로 실리콘을 고온을 가열해 얻어진 실리콘 용액으로 실리콘 기둥인 잉곳을 만든다 . 가공을 통해 완성된 잉곳을 얇은 형태로 잘라 웨어퍼를 얻는다 . 마지막으로 웨이퍼 표면을 평평하게 만드는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화학적 기계적 연마 ) 공정을 거친다 . # 웨이퍼를 보호하라 ' 산화공정 ' 웨어퍼 표면을 보호하는 산화막을 만드는 공정 ​CMP 공정 후 웨이퍼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 상태이기 때문에 반도체의 성질을 갖도록 작업이 필요하다 . 산화공정은 이어지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나 화학물질에 의한 불순물로부터 실리콘 표면을 보호하는 산화막 (SiO2) 을 씌우는 공정이다 . # 반도체 회로를 그려라 , 포토공정 웨이퍼 위에 반도체 회로를 그려 넣는 공정 필름을 인화지에 새기는 방법과 동일한 포토공정은 필름 역할을 하는 마스크 (Mask) 를 인화지 역할을 하는 웨이퍼에 얹혀서 현상하는 과정이라고 보면 된다 . 먼저 웨이퍼 표면에 빛에 민감한 물질인 감광액을 골고루 바른다 . 감광액 막이 형성된 웨이퍼는 인화지와 비슷한 상태가 되었다고 보면 된다 . 마스크에는 컴퓨터를 이용해 설계회로를 새겨 넣는데 이 마스크가 필름 역할을 하게 된다 . 인화할 준비가 되었다

[좋은글] 영리하나 열정이 없다

영리하나 열정이 없다   ( http://agile.egloos.com/5304902 ) 제목이 그럴듯 하여 낚였습니다 . ^^ 정리해보면 , 좋은 목표의 기준은 " SMART 한 목표보단 EXACT 한 목표다 "  입니다 . EXACT 한 목표 ? 캐롤 윌슨 (Carol Wilson) 이 쓴   Best Practice in Performance Coaching 이라는 책입니다 . 캐롤은 이 책에서 SMART 보다 EXACT 라는 목표 기준을 추천합니다 . 추천사를 써준 , 비즈니스 코칭의 선구자 존 휘트모어 (John Whitmore) 역시 SMART 가 남용되고 있고 불완전하다고 하며 EXACT 를 추천했습니다 . EXACT 를 보고는 무릎을 쳤습니다 . 맞어 ! EX citing A ssessable C hallenging T ime-framed   글의 마지막 문장이 인상적이네요 !! 마지막으로 사람들이 EXACT 한 목표를 세웠는지 쉽게 확인하는 팁을 하나 알려드립니다 .  목표를 세운 후에 얼굴에 화색이 돌고 목소리가 밝아지고 몸짓에 힘이 들어가고 행동의지가 강해진 듯 ( 아 , 빨리 뭐 해보고 싶다는 느낌 ) 보이면 잘 된 겁니다 . 시간날 때 찬찬히 읽어보시길 추천 !!

ST MCU 국문 기술 자료 사이트

ST MCU 국문 기술 자료 사이트 MCU 시장의 intel 이죠 . 없는게 없는 부러운 회사입니다 . 간단한 기술 소개 및 동영상 강의가 한글로 제공되고 있다 . 시간 날 때마다 들러 내공 쌓기 ~~ 자료실 : https://www.st.com/ko/stm32/stm32/reflibrary.html 아래는 자료실 링크를 긁어 왔어요 ~~ 동영상 자료 ( 국문 ) Title Interconnect matrix System configuration (SYSCFG) Reset and Clock Control Power controller (PWR) Power Optimization with SMPS Nested Vectored Interrupt Controller (NVIC) Extended Interrupt , event controller (EXTI) General Purpose Inputs Outputs(GPIO) Revised Device Electronic Signature Debug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DMA) System-ChromART (DMA2D) Security Hash processor (HASH) 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 Independent watchdog (IWDG) Cube MX Firmware Package CubeMX Getting started How to migrate STM32Cube software STM32Cube Tutorial SPI STM32Cube Tutorial I2C STM32 참고 자료 ( 국문 )  Title STM32 Nucleo 보드 ( 소개) STM32 Nucleo-64 보드 ( 전원, 커낵터) STM32 Nucleo-64 보드 ( 점퍼캡, 솔더브릿지)